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해외 ETF, 미국 주식처럼 살 수 있을까? 대표종목, 세금, 투자주의점 ETF에 관심이 생기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해외 ETF도 투자해 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 미국은 ETF의 본고장이자 종류도 훨씬 많고 거래 규모도 커서 매력적으로 느껴지죠. 하지만 막상 증권사 앱에서 검색해 보면 영어로 된 낯선 종목들이 한가득 나오고, 세금 문제도 어렵게 느껴져 쉽게 다가가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해외 ETF와 국내 ETF의 차이점, 대표 ETF 종류, 실전 매매 방법과 세금까지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해외 ETF, 국내 ETF와 뭐가 다를까? 우선 해외 ETF는 말 그대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ETF예요. 국내 ETF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아요.구분국내 ETF해외 ETF거래 시장코스피/코스닥NYSE,.. 2025. 7. 3.
국내 ETF, 뭘 고르고 어떻게 살까? ETF 선택법, 투자유형, 실전매수 지난 글(ETF는 뭘까? (간편 투자, 분산, 펀드와 차이))에서는 ETF의 개념과 펀드와의 차이에 대해 알아봤어요. 그런데 막상 ETF를 사보려고 하면 당황스럽죠. 검색해 보면 미국 ETF까지 뒤섞여 나오고, 어떤 걸 사야 할지 기준도 모호해요. 그래서 오늘은 국내 ETF를 처음 사보는 사람을 위한 실전형 입문 가이드를 준비했어요. ETF를 어디서 어떻게 고르고, 어떤 종류가 있고, 실제로 어떻게 매수하고 관리하는지를 함께 정리해 볼게요.ETF, 어디서 어떻게 고를까? ETF는 증권사 앱에서 주식처럼 검색할 수 있지만, 처음엔 너무 많은 종목이 쏟아져 혼란스럽기 쉬워요. 'KODEX', 'TIGER', 'KBSTAR'처럼 익숙하지 않은 브랜드명부터, 해외 ETF까.. 2025. 7. 3.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 2025년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는 국내외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 방향의 근거를 제시하는 공식 자료입니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100페이지가 넘고, 금융 용어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이 보고서의 전체 흐름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릴게요. 지금 우리 경제에 어떤 위험 신호가 있는지, 어떤 대책이 논의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1. 보고서의 전체 구성, 어떻게 나뉘어 있나요? 이번 보고서는 총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각 장마다 다루는 주제가 구체적으로 구분되어 있어요.I. 금융안정 상황 : 가계부채, 기업대출, 채권시장, 주식시장, 금융기관 등의 흐름을 분석해요.II. 주요 현안 분석 : 기업 신용.. 2025. 7. 2.
가계부채, 왜 줄지 않을까? 가계부채가 위험하다는 말, 뉴스에서 정말 자주 보죠. 그런데 정부도 계속 대책을 내놓는데 왜 가계부채는 쉽게 줄지 않을까요? 특히 최근엔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생애 최초 LTV도 낮추는 정책이 나왔어요. 지금 이 시점에서 가계부채 문제를 다시 한번 쉽게 짚어보려 합니다.왜 대출이 줄지 않는 걸까? 정부는 수년째 대출 억제 정책을 펼치고 있어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강화하고, 주택담보대출 기준도 점점 까다롭게 만들고 있죠. 그런데도 대출은 줄지 않고 있어요. 그 이유 중 하나는 생활비와 전월세 보증금 마련 등 ‘어쩔 수 없는’ 목적 때문이에요. 금리가 다소 높아졌더라도, 당장 필요한 돈을 대출 외에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대출을 .. 2025. 7. 2.
주식시장은 왜 흔들릴까? 주식, 요즘 다시 붐이 일고 있어요. 코스피는 3,000선을 넘보고 있고, 코스닥도 테마주를 중심으로 큰 변동성을 보이며 많은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어요. 그런데 이런 시기에 우리는 어떤 관점으로 시장을 바라봐야 할까요?코스피는 왜 오르고 있을까? 2025년 상반기 들어 코스피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예요. 하나는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인 자금의 꾸준한 유입이에요. 새 정부가 반도체, AI, 로봇 산업을 중심으로 강한 산업 육성 정책을 내세우면서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고, 이는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어요. 또한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원화 강세 흐름이 겹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이에요. .. 2025. 7. 1.
채권시장, 조용한 돈의 흐름 조용한데 강하다 – 채권시장 이야기입니다. 요즘 뉴스는 주식, 부동산, 코인 이야기로 가득하지만, 정작 큰돈이 움직이는 곳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채권시장’이에요. 조용하게 움직이지만, 자금의 방향성과 투자자 심리를 미리 보여주는 가장 민감한 자산시장 중 하나죠. 특히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국채 수익률이 안정세를 보이며 외국인 자금이 국내 채권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분석됐습니다. 이건 단순히 금리 때문이 아니라, 우리 경제에 대한 ‘신뢰’와도 관련이 있어요.국채 수익률 안정의 의미 국채 수익률은 국가가 발행한 채권에 투자했을 때 얻는 이자율입니다. 이 수익률이 안정된다는 건, 시장이 정부의 재정 상태와 경제 정책을 ‘안정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 2025.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