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기본 개념 (GDP, 금리, 물가, 환율, 통화량)
경제를 이해하는 첫걸음은 ‘거시경제’를 읽는 눈을 갖는 것입니다. 거시경제란 말 그대로 ‘국가 전체’ 경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개념이에요. 이번 시리즈는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서도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고 실생활에 밀접한 개념들을 뽑아 정리했어요. 이 글 하나로 GDP부터 금리, 환율, 물가까지 핵심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쉽게 푸는 경제금융용어 시리즈 1편입니다. 앞으로 주식, 부동산, 금융, 코인 편도 이어집니다.GDP와 GNP, 왜 구분해야 할까? GDP(국내총생산)은 말 그대로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예: 삼성, 현대, 카카오 등이 1년간 벌어들인 부가가치 총합. GNP(국민총생산)은 국경과 무관하게 국민이 벌어들인 소득이에요. 즉, ..
2025. 7. 6.
ETF를 사고 나면 뭘 봐야 할까?
수익 확인, 분배금, 리밸런싱 ETF를 처음 매수하고 나면, 누구나 같은 고민이 생깁니다. “이제 뭘 봐야 하지?”, “그냥 가만히 두면 되나?”, “수익은 어떻게 확인하고, 언제 팔아야 할까?” ETF는 매수 이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해요. 오늘은 ETF를 산 다음에 꼭 챙겨봐야 할 핵심 포인트를 순서대로 정리해 드릴게요. 이제는 ‘사는 것’이 아닌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할 때입니다.1. 수익 확인은 어디서, 어떻게? ETF 수익은 증권사 앱에서 ‘평균단가’와 ‘현재가’를 비교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평균단가가 10,000원이고, 현재가가 11,000원이라면 10% 수익이 난 거죠. 하지만 수익률만 보지 말고 ‘기준이 있는 수익률’인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단기 급등에 흥분해서 매도하지..
2025.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