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2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 2025년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는 국내외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 방향의 근거를 제시하는 공식 자료입니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100페이지가 넘고, 금융 용어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이 보고서의 전체 흐름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릴게요. 지금 우리 경제에 어떤 위험 신호가 있는지, 어떤 대책이 논의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1. 보고서의 전체 구성, 어떻게 나뉘어 있나요? 이번 보고서는 총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각 장마다 다루는 주제가 구체적으로 구분되어 있어요.I. 금융안정 상황 : 가계부채, 기업대출, 채권시장, 주식시장, 금융기관 등의 흐름을 분석해요.II. 주요 현안 분석 : 기업 신용.. 2025. 7. 2. 가계부채, 왜 줄지 않을까? 가계부채가 위험하다는 말, 뉴스에서 정말 자주 보죠. 그런데 정부도 계속 대책을 내놓는데 왜 가계부채는 쉽게 줄지 않을까요? 특히 최근엔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생애 최초 LTV도 낮추는 정책이 나왔어요. 지금 이 시점에서 가계부채 문제를 다시 한번 쉽게 짚어보려 합니다.왜 대출이 줄지 않는 걸까? 정부는 수년째 대출 억제 정책을 펼치고 있어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강화하고, 주택담보대출 기준도 점점 까다롭게 만들고 있죠. 그런데도 대출은 줄지 않고 있어요. 그 이유 중 하나는 생활비와 전월세 보증금 마련 등 ‘어쩔 수 없는’ 목적 때문이에요. 금리가 다소 높아졌더라도, 당장 필요한 돈을 대출 외에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대출을 .. 2025. 7.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