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는 지금 누구의 기준을 살고 있는 걸까?

by 써니스타트 2025. 10. 20.
반응형

나는 지금 누구의 기준을 살고 있는 걸까? 나를 잃지 않는 법 5편

정보 자본주의 시대, 나를 잃지 않는 법 5편  

 

 ‘이건 꼭 가져야 해’, ‘이런 삶이 멋져 보여’, ‘나도 저렇게 살아야 하나?’

 우리는 매일같이 누군가의 기준을 스치고, 닮으려 합니다. 하지만 문득, 이렇게 묻게 됩니다.

 

 “나는 지금 누구의 기준을 살고 있는 걸까?”

 

 SNS 속 누군가의 일상, 자기 계발서의 성공 공식, 성장을 강요하는 사회 구조 속에서 우리는 타인의 욕망을 자신의 목표로 착각합니다.

 이 글은 타인의 욕망이 어떻게 내 감정을 설계하고, 그 기준 안에 갇히게 되는지를 짚어봅니다. 그리고 ‘진짜 나의 기준’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적 관점을 함께 나눕니다.

💡 ‘원함’이 아니라 ‘따름’이 되어버린 욕망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갖고 싶다’, ‘되고 싶다’는 감정을 느낍니다. 하지만 그 욕망이 진짜 ‘내 안에서 시작된 것’일까요?

 많은 경우, 우리는 타인의 욕망을 ‘내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의 루틴, 인기 있는 라이프스타일, 책에서 말하는 자기 계발 공식을 따라가며 “이게 맞는 길이겠지”라고 생각하죠.

 

 그러나 욕망은 모방됩니다.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원하는 걸 갖고 싶어진 나’ 일 수도 있어요.

 이런 상태에서는 결국 내 감정과 목표는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내가 뭘 원하는지도 헷갈리고, 계속 따라가야만 하는 삶은 결국 지침으로 이어지죠.

 

 중요한 건 “나는 왜 이걸 원하나?”를 묻는 감정의 기준입니다. 욕망은 감정의 파동에서 시작되지만, 그 감정이 조작되거나 비교 속에서 흔들리면, 욕망은 나의 것이 아닌 사회적 명령이 됩니다.

💡 비교는 기준을 흐리고, 삶을 지치게 만든다

 비교는 우리를 멈추게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더 달리게 만들죠. 더 가져야 하고, 더 성장해야 하고, 더 멋져야 하니까요.

 그러나 비교의 기준은 언제나 바깥에 있습니다. ‘남들은 벌써 이만큼 했는데’, ‘나는 왜 아직 여기에 있지?’, 이런 생각은 기준 없는 속도만 남기게 됩니다.

 

 속도만 있고 방향이 없는 삶은 결국 지치게 됩니다. 나만의 기준이 없으면, 모든 비교는 나를 부정하는 재료가 되고, 감정은 자존감이 아니라 자책으로 이어지게 되죠.

 더 큰 문제는, 비교가 일상이 되면 자기 삶의 기준을 잃는다는 점입니다. 나의 성장보다 남의 성과가 먼저 눈에 들어오고, 내 감정보다 타인의 반응이 중요해집니다.

 

 비교는 감정을 소진시키고, 욕망은 기준 없이 부풀게 되고, 결국 우리는 지나친 자기 계발 중독이나 무기력과 포기의 감정 사이에서 진동하게 됩니다.

💡 기준을 회복하는 건 감정의 자립부터

 기준은 지식이 아니라 감정에서 시작됩니다. “나는 지금 어떤 감정을 살고 있는가?”를 인식하는 것이 기준 회복의 첫걸음이에요.

 내가 불안해서 따라가고 있다면, 그 욕망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내가 지루해서 흥미를 찾고 있다면, 그 루틴은 나의 기준이 아닐 수 있어요.

 

 감정 자립은 욕망을 구분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그리고 점점 더, 내가 원하는 방향과 속도를 찾을 수 있게 되죠.

 

 다음의 질문을 루틴처럼 가져보세요:

  • 이 욕망은 어디서 왔지?
  • 이건 정말 내가 원하는 삶인가?
  • 이 욕망을 따라갈 때 나는 충만한가, 피로한가?

 이 질문들을 반복하다 보면, 타인의 기준 안에 갇힌 내가 아니라, 나의 감정과 욕망을 구별할 줄 아는 사람이 됩니다.

✅ 써니스타트의 체크포인트 ✍️

✔ 욕망은 ‘내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타인의 것이다

✔ 비교는 나의 기준을 흐리고 감정을 소진시킨다

✔ 성장의 방향보다 속도에만 집중하면 결국 지치게 된다

✔ 감정 자립이 있어야 욕망을 구분할 수 있다

✔ 기준 회복은 감정을 인식하는 루틴에서 시작된다

💬 써니스타트의 한마디

욕망은 감정이고, 감정은 기준을 흔들 수 있습니다.
남의 기준 속에서 살아가는 삶은 결국 나를 잃게 만듭니다.
이제는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를 매일 묻는 루틴이 필요합니다.

🔎 Q&A

Q. 타인의 기준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벗어나려 하기보다 먼저 ‘인식’하는 게 중요해요. 지금 느끼는 욕망이나 불안이 타인에게서 온 것인지 나의 진짜 바람인지 구분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욕망을 자각하는 순간, 기준은 다시 나에게 돌아옵니다.

🪧 다음 편 예고

〈나를 잃지 않는 법〉 6편 – 계속 나아가야 한다는 강박

 자기 계발과 루틴은 성장의 도구이자, 때로는 감정의 족쇄가 되기도 합니다. 📌 ‘계속 발전해야 한다’는 강박 속에서 우리는 어떤 감정을 희생하며 살아가고 있는 걸까요?

반응형